가회동 백인제 가옥 근대화의 흐름이 새겨진 북촌 한옥

가회동 백인제 가옥은 1913년 2,460㎡의 넓은 대지 위에 압록강 흑송을 사용하여 건축되었다. 북촌 한옥마을에서 가장 유명한 한옥 중 하나로 근대화의 흐름이 새겨진 이곳을 방문하여 당시 시대의 변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었다.

북촌 한옥마을 가회동 백인제 가옥
북촌 한옥마을 가회동 백인제 가옥.

가회동 백인제 가옥 기본정보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 7길 16
지하철 : 3호선 안국역 2번 출구에서 464m
문화재 :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
지정일 : 1977년 3월 17일
운영시간 : 09:00 – 18:00
정기휴무 : 매주 월요일(공휴일인 경우 개관), 1월 1일

서울한옥포털 공식 홈페이지 바로가기

bukchon hanok hall rest area

북촌한옥청 전시회가 있는 서울 북촌 여행의 쉼터

서울 백병원의 설립자 외과의사 백인제

서울 백병원의 전신인 백인제 외과병원의 설립자 백인제는 평안북도 정주군 출신으로 1899년에 태어났다.

가회동 백인제 가옥 전시실
가회동 백인제 가옥 전시실.

1916년, 경성의학전문학교에 입학하여 뛰어난 성적으로 수석을 놓치지 않았으나 3.1운동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의사 면허를 받지 못하였다.

가회동 백인제 가옥 전시실 전시물
가회동 백인제 가옥 전시실 전시물.

의사면허를 받기 위해 조선총독부 부속병원에서 부수로 근무하며 면허를 받아 1923년부터 1927년까지 조선총독부 외과전문의관으로 근무했다.

가회동 백인제 가옥 안채 실내에 걸려있는 벽시계
가회동 백인제 가옥 안채 실내에 걸려있는 벽시계.

해방 후, 신탁통치반대운동에 참여하고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는 등 정치적인 활동을 하며 전 재산을 사회에 환원하기 위해 1946년 재단법인 백병원을 설립하였으나 한국전쟁 중 납북되어 이후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다.

가회동 백인제 가옥

가회동 백인제 가옥은 1913년 이완용의 조카였던 한상룡이 압록강 흑송을 사용하여 건축하였다.

가회동 백인제 가옥 안채 대청마루
가회동 백인제 가옥 안채 대청마루.

이후 최선익 등을 거쳐 이 가옥의 명칭이 된 백인제에게 1944년 소유권이 이전되었고 1977년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문간채

가회동 백인제 가옥에 도착하면 가장 먼저 마주하는 것이 대문간채이다. 높은 위치의 솟을대문은 다른 곳과는 사뭇 다른 인상을 주었다.

가회동 백인제 가옥 문간채 앞 행랑마당
가회동 백인제 가옥 문간채 앞 행랑마당.

솟을대문 옆으로 고용인들이 거주하던 행랑채가 구성되어 있으며, 높은 대지 위에 설치된 솟을대문은 이 집의 권위를 한층 높여 주는 요소로 작용한다.

사랑채

솟을대문을 지나 사랑 마당으로 통하는 문을 지나면 사랑채가 나온다. 사랑채는 남성의 공간으로 가회동 백인제 가옥은 안채와 사랑채가 한 동으로 되어 있지만 남성과 여성의 공간은 확실하게 분리되어 있다.

가회동 백인제 가옥 행랑마당에서 사랑채로 통하는 문
가회동 백인제 가옥 행랑마당에서 사랑채로 통하는 문.

외벌대 기단 위에 다른 한옥보다 높은 주춧돌과 기둥으로 된 팔작지붕 건물로 근대화의 흐름에 맞춰 유리 창호가 설치되어 실내외 완충공간인 툇마루와 대청마루가 전부 실내 공간이 되었다.

가회동 백인제 가옥 사랑채
가회동 백인제 가옥 사랑채.

남성의 사회 활동 공간으로 넓은 정원이 인상적인 사랑채는 일본 고위층과의 사교활동의 영향으로 내부 바닥이 전통 우물마루가 아닌 일본식 장마루로 되어 있는데 안채를 제외한 다른 곳은 내부 입장이 제한되어 볼 수 없어 아쉬웠다.

안채

사랑채를 둘러보고 안채로 이동했다. 안채 또한 사랑채와 안 몸체로 외벌대 기단 위 높은 주춧돌과 기둥이 보였다.

가회동 백인제 가옥 안마당
가회동 백인제 가옥 안마당.

안채도 외부에 전부 유리 창호가 설치되어 툇마루와 대청마루가 전부 실내 공간이 되며 대청마루는 거실이 되고 툇마루는 긴 복도를 형성하고 있다.

가회동 백인제 가옥 안채
가회동 백인제 가옥 안채.

안채는 자유 관람자에게 내부 관람이 허용되어 있다. 다만, 안채를 제외한 다른 곳은 예약제로 운영되는 해설 관람에만 허용되며 안내자의 인솔하에 해설 관람자들만 입장할 수 있다.

해설관람 예약방법

모집 : 인터넷, 전화, 현장방문 접수
인원 : 회당 15명

서울시 공공서비스 예약 웹사이트 바로가기

자유 관람자에게 허용된 안채 내부 관람

해설 관람자가 관람하지 않는 시간대에 맞춰 유동적으로 개방하고 있어, 안내소에 개방 시간을 물어보면 입장 가능 시간을 알려준다.

가회동 백인제 가옥 안채 툇마루
가회동 백인제 가옥 안채 툇마루.

대청마루부터 툇마루까지 긴 동선을 따라 걸으며 건축적 산책을 즐길 수 있다. 주거 공간에서 긴 복도는 절대 낭비되는 공간이 아님을 보여준다.

안채 내부에서 보이는 가회동 백인제 가옥 2층
안채 내부에서 보이는 가회동 백인제 가옥 2층.

긴 동선의 종점에 있는 비교적 넓은 마루에서 가회동 백인제 가옥만의 특징인 2층을 볼 수 있다.

별당채

가회동 백인제 가옥의 후원이자 가장 높은 곳에 별당채가 있다.

가회동 백인제 가옥 별당채
가회동 백인제 가옥 별당채.

궁궐 후원을 연상시킬 정도의 정원에 별당채가 들어서 있어 사계절에 따른 풍경의 변화를 궁금하게 하였다.

가회동 백인제 가옥의 솟을대문을 바라보며

가회동 백인제 가옥은 북촌 한옥마을을 대표하는 한옥 중 하나이다. 단순한 관광지가 아닌 한국 전통 건축과 근대화의 변화를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안채와 사랑채는 구분시켜주는 벽
안채와 사랑채를 구분시켜 주는 벽.

이 가옥에 얽혀 있는 인물을 통해 우리 근대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사랑채와 안채, 별당채 등 각 건물이 지닌 건축적 특징을 통해 우리 전통 건축의 아름다움도 느낄 수 있었다.

가회동 백인제 가옥 안채 별동
가회동 백인제 가옥 안채 별동.

이 가옥에는 오랜 기간 서울 시장을 지내신 분이 자신의 공관으로 사용하려 하다 많은 비판으로 철회한 일화가 있다.

이완용의 조카이자 친일반민족행위자 한상룡이 조선총독부 고위층들과 연회를 즐기던 곳을 반일운동을 주도하던 분이 탐낼 정도로 엄청난 매력을 지닌 가옥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가회동 백인제 가옥 안채 안방
가회동 백인제 가옥 안채 안방.

준공 이후 대부분의 시간 동안 특권층을 위한 집으로 그들의 욕망의 대상이자 공간이었던 백인제 가옥이 시민의 품으로 돌아와 모두를 위한 문화유산이 되어 솟을대문의 권위가 전과는 전혀 다르게 느껴진다.

안채 복도 끝에 있는 넓은 마루
안채 복도 끝에 있는 넓은 마루.

북촌 한옥마을을 방문하게 된다면 가회동 백인제 가옥에 꼭 가보는 것을 추천한다. 한국 전통 건축의 아름다움과 함께 그 안에 담긴 근대화의 흐름과 아픈 역사의 흔적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좋은 경험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