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촌라운지는 북촌 한옥마을에 있는 전통 카페로 서울시 공공한옥에 한옥스테이 버틀러리에서 위탁운영하고 있다. 한적한 분위기의 전통 카페로 누구나 자유롭게 입장할 수 있어 바쁜 도시 생활에서 벗어나 전통 한옥 체험과 함께 전통차를 즐길 수 있는 장소이다.

북촌라운지 기본정보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길 103-7
지하철 : 3호선 안국역 3번 출구에서 614m
위탁업체 : (주)프라우들리 한옥스테이 버틀러리
영업시간 : 10:00 – 20:00(19:00 라스트 오더)
정기휴무 : 월요일
서울한옥포털 공식홈페이지 바로가기
전통 카페 북촌라운지
안국역 3번 출구에서 나와 계동길을 따라 600m정도 걸으면 북촌라운지에 도착한다. 역에서부터 거리가 조금 있지만 북촌 특유의 전통적인 분위기를 느끼며 걷다 보면 나도 모르게 금세 도착하는 기분이 든다.

북촌라운지는 한옥과 전통문화 체험을 위해 서울시가 마련한 공공한옥 중 하나로 누구나 자유로운 방문과 휴식이 가능한 공간이다.

카페는 (주)프라우들리 한옥스테이 버틀러리에서 위탁 운영하고 있다. 영업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8시까지이고 라스트 오더는 오후 7시까지이다.
북촌라운지 메뉴
북촌라운지에는 여러 종류의 차와 디저트 등 다양한 메뉴가 준비되어 있다. 2024년 5월 기준 메뉴는 다음과 같다.

· TEA MENU
1) 녹차 세작 : 10,000원
2) 녹차 중작 : 9,000원
3) 백차 백모단 : 10,000원
4) 백차 백아차 : 9,000원
5) 백차 수미 : 9,000원
6) 우롱차 대홍포 : 10,000원
7) 우롱차 수선 : 9,000원
8) 우롱차 사계춘 : 9,000원
9) 홍차 정산소종 : 11,000원
10) 보이숙차 남나산 고수 : 10,000원
11) 보이숙차 경매 대평장 : 9,000원
12) 흑차 띄움차 : 11,000원
· TEA VARIATION
1) 미나리 브리즈 : 7,800원
2) 트러플 바닐라 보이
3) 레몬머틀 말차 소다 : 7,500원
4) 바닐라빈 통카 말차 : 7,500원
5) 아임파인 우롱 : 7,300원
· TEA SWEETS
1) 곶감 살라미
2) 찰떡 브라우니 : 8,000원
3) 흑임자 치즈 케이크 : 6,800원
4) 산딸기 꽃 약과 : 14,000원
녹차세작 시음
녹차 세작과 찰떡 브라우니를 시켜보았다. 가격이 조금 있는 듯하지만 전통 한옥 체험과 함께하는 차의 의미를 생각하면 적절한 가격이라고 생각한다.

좌석은 각자 원하는 곳에 자유롭게 앉을 수 있다. 주문하고 각 방에 자리 잡고 있으면 주문한 차와 디저트를 직접 가져다준다. 차를 우려내는 방법 또한 친절하게 설명해 준다.

차를 적정 온도에서 우려내는 것이 핵심이다. 추천해 준 방식으로 마셨을 때와 뜨거운 물로 마셨을 때의 맛이 전혀 다르다. 적정 온도일 때 가장 본연의 맛을 느낄 수 있다.
서울시 공공한옥 체험
서울시 공공한옥 북촌라운지는 “ㅡ”자형 평면의 안채와 “ㄴ”자형 평면의 행랑채와 별채로 구성된다.

안채를 “ㄴ”자형 행랑채가 감싸고 있는 형태이다. 안채와 별채에는 객실이 있고 행랑채에는 객실과 주문을 할 수 있는 카운터가 있다.
안채
이곳에서 가장 중심 건물이다. 전면 세 칸, 측면 한 칸 반 규모의 일고주오량가 건물로 외벌대 기단 위에 사다리형 초석이 사용되었다. 사모기둥에 대들보와 납도리를 결구한 민도리식 가구이다.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에 객실이 있고 안 마당과 뒷마당에 한 칸 규모의 툇마루가 있다. 이 외 객실 전면에 팔을 걸칠 수 있는 머름과 쪽마루가 설치되어 있다.

뒷마당의 툇마루에도 객석이 있어 북촌라운지에서 가장 핵심 공간이라고 느껴졌다.
행랑채
행랑채는 “ㄴ”자형 평면으로 안채를 감싸고 있는 형태이다. 측면 한 칸 규모의 삼량가 건물로 길게 늘어선 방마다 객실이 있고 주문을 할수 있는 카운터도 이곳에 있다.

안채와 동일한 가구 구성으로 별다른 장식 없이 사모기둥에 대들보와 납도리를 결구한 민도리식 가구이다. 객실 전면에 머름과 쪽마루가 설치되어 있다.

이곳에서 유일하게 입식 좌석이 있다. 안마당에서 보이는 객실 안쪽에 달항아리가 눈에 띄었다. 장식에 사용한 소품 하나하나, 매우 신경 쓴 듯 느껴졌다.
별채
안마당에서 뒷마당으로 통하는 통로를 지나 우측 계단을 오르면 별채가 있다. 다섯 칸 규모의 삼량가 맞배지붕 건물로 높은 대지 위에 독립적인 배치로 한적한 분위기이다.

외벌대 기단 위에 사다리형 초석이 사용되었다. 사모기둥에 대들보와 납도리를 결구한 민도리식 가구로 건물을 따라 쪽마루가 있다. 객실 전면에는 머름을 설치하여 좌식 객석에 적절한 기능을 하고 있다.

이곳 역시 여러 소품을 활용하여 한옥의 전통적인 느낌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조용한 곳에서 편안한 분위기를 원한다면 별동을 추천한다.
전통 카페 북촌라운지를 다녀와서
우리나라 카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사람들과 만나서 담소를 나누는 장소일뿐만 아니라 책을 읽거나 공부하는 곳으로도 활용된다.

북촌라운지는 한옥마을이라는 특수한 장소에 본질에 충실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가장 북촌다운 카페를 원하는 분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전통 카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