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낙선재 대한제국 마지막 황족이 살던 곳

헌종 13년(1847년)에 건축된 창덕궁 낙선재는 사대부 주택 형식의 왕실 한옥으로 순정효황후를 비롯한 대한제국 구황실 사람들이 마지막까지 기거하던 곳이다. 전통적인 한옥의 아름다움을 간직하면서 당시 최신 기술을 접목하여 세련되고 섬세한 공예미를 자랑하는 공간을 만들어 내었다.

창덕궁 낙선재 정면
헌종 13년(1847년) 건축된 창덕궁 낙선재.

창덕궁 낙선재 기본정보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지하철 : 서울 지하철 3호선 안국역 3번 출구
문화재 : 대한민국 보물 제1764호
지정일 : 2012년 3월 2일
입장료 : 3,000원
궁능유적본부 창덕궁 홈페이지 바로가기

조선 24대 국왕 헌종

낙선재에는 여러 왕실 인물이 얽혀 있으나 이 중에서 낙선재를 건축한 조선 24대 국왕 헌종과 1966년까지 낙선재에서 살았던 조선의 마지막 국모 순정효황후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 보도록 하겠다.

휴식공간이 되어 주는 낙선재 권역
훌륭한 휴식공간인 낙선재 권역.

헌종은 1827년 9월 8일, 후에 익종으로 추존되는 효명세자와 신정왕후 조씨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효명세자가 20살의 나이에 요절하자 왕세손에 책봉되어 할아버지 순조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헌종 13년(1847년) 창덕궁에 낙선재를 건축한다.

낙선재 화계에서 대청마루를 통대 바라본 안마당.
대청마루 너머로 보이는 낙선재 안마당.

23살의 젊은 나이에 요절했지만 8살에 왕위에 올라 1834년부터 1849년까지 재위 기간이 15년이나 된다. 즉위 후 6년 동안 할머니인 순원왕후 김씨의 수렴청정이 이어졌고 이후 친정을 시작하여 세도정치를 견제하며 기울어가던 국운을 바로 세우고 개혁 의지를 드러내지만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다.

조선의 마지막 국모 순정효황후

해풍 부원군 윤택영의 딸로 1894년 9월 7일 태어났다.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 순종의 비였던 순명효황후가 사망하자 윤택영과 고종의 후궁인 순헌황귀미 엄씨 사이의 거래로 1907년 황태자비가 된다.

낙선재 안마당
창덕궁 낙선재 안마당.

순정효황후에게는 유명한 일화가 있다. 대한제국 마지막 어전회의에서 친일반민족행위자들이 순종에게 한일병합조약에 날인할 것을 강요하자, 병풍 뒤에서 엿듣고 있던 순정효황후가 옥새를 치마 속에 숨겼다는 이야기이다.

누마루 하부에 있는 빙렬문
창덕궁 낙선재 누마루 하부의 빙렬문.

감히 황후의 치마 속이었기 때문에 누구도 빼앗을 수 없었지만, 큰아버지였던 윤덕영이 순정효황후를 밀치고 옥새를 빼앗아 한일병합조약에 날인했다고 전해진다. 일제강점기 황후에서 이왕비로 격하되고 순종이 사망하자 낙선재로 거처를 옮겼다.

창덕궁 안마당 꽃담
창덕궁 낙선재 안마당 꽃담.

이후 한국전쟁 때 부산으로 피난하였으며 휴전 후 낙선재로 돌아가려 했으나, 구황실에 비판적인 이승만 정부에서 허락하지 않아 돌아갈 수 없었다.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하고 박정희 정부가 들어서면서 낙선재로 다시 돌아갈 수 있었으며, 1966년까지 구황실 사람들과 낙선재에서 기거하다 그곳에서 별세한다.

ogin dong yoons house facade

옥인동 윤씨 가옥의 비밀과 친일반민족행위자 윤덕영

창덕궁 낙선재

낙선재는 사대부 주택 형식으로 지은 왕실 한옥으로 창경궁의 동궁인 낙선당이 화재로 소실된 자리에 1847년, 헌종이 사랑했던 후궁인 경빈 김씨를 위해 건축했다.

창덕궁 낙선재 지붕
창덕궁 낙선재 누마루 지붕.

헌종이 젊은 나이에 요절하며 비어있던 낙선재를 갑신정변 이후 고종이 편전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후 일제강점기와 일제의 패망으로 인한 광복, 대한민국 건국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순정효황후와 덕혜옹주를 비롯한 구황실 사람들이 비교적 최근인 1989년까지 살았던 곳이다.

창덕궁 낙선재 누마루
창덕궁 낙선재 누마루.

두벌대 반 기단 위에 지어진 낙선재는 일고주오량가로 익공식 공포를 갖춘 굴도리식 가구이며 겹처마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솟을대문을 거쳐 안마당으로 들어오면 시선을 끄는 누마루와 함께 건물 전체가 한눈에 들어온다.

창덕궁 낙선재 누마루
창덕궁 낙선재 누마루.

화려한 궁궐 속 민가 형식의 주거 건물로 언뜻 소박해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디테일이 감탄스러울 만큼 섬세하여 아름다운 공예미를 뽐내고 있다. 여러 장식적인 패턴과 조각, 건물의 선 등 건축물을 구성하는 모든 부재와 장식, 마감 하나하나가 꾸민 듯 안 꾸민 듯 자연스럽고 세련되게 조화되어 있다.

낙선재를 바라보며

낙선재는 조선 왕실의 생활상과 역사를 간직함과 동시에 현재는 물론 앞으로도 유효한 “검이불루 화이불치”라는 조선의 미학을 대표할 수 있는 우리나라 전통 한옥의 절정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창덕궁 권역에서 본 낙선재
창덕궁 낙선재를 바라보며.

전통 한옥 양식을 기반으로 하여 당신 최신 기술을 접목한 독특한 매력을 가진 건축물로 콘크리트 도심 속 전통과 혁신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한옥의 아름다움을 체험하기 위해 산책 삼아 다녀오면 좋을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