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쉼터 갤러리 북촌한옥마을의 골목길 옆 작은 미술관

작은 쉼터 갤러리는 북촌 365_Lab에서 운영하는 갤러리로 북촌 골목길 바로 옆에 있어 접근성이 매우 좋다. 서울시 공공 한옥으로 누구나 자유롭게 입장이 가능하며 북촌 한옥마을 산책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장소이다.

북촌 한옥마을 작은 쉼터 갤러리
북촌 한옥마을 작은 쉼터 갤러리.

작은 쉼터 갤러리 기본정보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 2길 11-9
지하철 : 3호선 안국역 3번 출구에서 467m
입장료 : 무료
운영시간 : 10:00 – 17:00
정기휴무 : 월요일
서울한옥포털 공식홈페이지 바로가기

bukchon everyones gallery window 2

모두의 갤러리 북촌 한옥마을에 있는 배우 최화정의 생가

모두의 갤러리 북촌도시재생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전시시설로 전통 한옥에서 다양한 전시회가 열리는 곳 …

bukchon hanok support center signboard

한옥지원센터 북촌 마을서재가 있는 한옥 관련 상담의 장

한옥지원센터 북촌에 있는 한옥 지원센터로 서울시 모든 한옥을 대상으로 지원과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장소 …

북촌 365_Lab 작은 쉼터 갤러리

작은 쉼터 갤러리가 위치한 장소에는 북촌 365_Lab에서 운영하는 세 가지 시설이 있다. 전시 및 대관 시설인 작은 쉼터 갤러리와 모두의 갤러리 그리고 한옥 관련 다양한 지원과 상담을 제공하는 한옥지원센터가 바로 그것이다.

작은 쉼터 갤러리
북촌 365_Lab 작은 쉼터 갤러리.

이번 글에서 소개하는 곳은 세 가지 시설 중 골목길 바로 옆에 있어 접근성이 가장 좋은 전시 및 대관시설 작은 쉼터 갤러리이다.

작은 쉼터 갤러리

작은 쉼터 갤러리는 “ㅡ”자형 외통집 평면 형태로 정면 두 칸, 측면 한 칸 규모의 아주 작은 삼량가 한옥이다.

북촌 한옥마을 작은 쉼터 갤러리 정면
북촌 한옥마을 작은 쉼터 갤러리 정면.

외벌대 장대석 기단 위에 사다리형 초석이 사용되었으며 사모기둥에 바로 대들보와 납도리가 결구된 민도리식 가구로 홑처마 맞배지붕 건물이다.

작은 쉼터 갤러리 채광을 위한 분합창
작은 쉼터 갤러리 채광을 위한 분합창.

정면에 출입할 수 있는 여닫이문과 채광을 위한 분합창이 달려 있으며 측면에도 출입할 수 있는 분합문과 미닫이 문이 이중으로 달려 있다.

작은 쉼터 갤러리 측면
작은 쉼터 갤러리 측면.

서울시 공공 한옥으로 별도의 입장료나 절차 없이 자유롭게 방문할 수 있어 북촌 골목길 바로 옆에 있는 장소의 이점이 극대화되는 공간이라고 느꼈다.

전시 및 대관

작은 쉼터 갤러리는 예술 작품 전시와 다양한 문화 행사 개최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누구나 자유롭게 관람은 물론 전시 및 대관 또한 할 수 있다.

전시공간인 작은 쉼터 갤러리 실내
전시공간인 작은 쉼터 갤러리 실내.

세부 사항과 대관 신청 절차는 서울한옥포털사이트 메뉴에서 “한옥살이” – “한옥공간 대관” 카테고리를 참고하면 확인 할 수 있다.

서울한옥포털 공식홈페이지 바로가기

지승공예 : 한지를 이용한 전통 공예

방문일에는 지승공예에 대한 전시를 하고 있었다. 지승공예란 전통 종이 공예 기법의 하나로 한지를 꼬아 만든 실을 이용한 공예라고 한다.

지승공예의 재료가 되는 한지를 꼬아만든 실
지승공예의 재료가 되는 한지를 꼬아만든 실.

우리나라 전통 한지는 조선시대 주요 수출품이었으며 부드러우면서 질긴 특성으로 뛰어난 내구성을 자랑하여 한옥의 창호나 심지어 갑옷까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작은 쉼터 갤러리 지승공예 전시품
작은 쉼터 갤러리 지승공예 전시품.

이번 전시를 통해 호리병과 명함 지갑 등 다양한 지승공예품을 감상할 수 있었으며 특히 호리병은 옻칠을 통해 방수 기능을 더하여 물이 새지 않는다는 점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골목길 옆 작은 미술관에서

작은 쉼터 갤러리는 북촌 한옥마을 골목길에서 여러 작가의 다양한 작품을 만날 수 있는 장소이다.

전시 중인 북촌 한옥마을 작은 쉼터 갤러리
전시 중인 북촌 한옥마을 작은 쉼터 갤러리.

이번 방문을 통해 지승공예라는 우리 전통 공예에 대해 알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가까운 곳에 이렇게 훌륭한 전시 공간이 있다는 것에 감사했다. 많은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져 더욱 활성화되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