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3호선 안국역 4번 출구 가까운 곳에 있는 운현궁은 흥선대원군의 저택이자 고종이 왕이 되기 전까지 살던 곳으로 우리나라 전통 건축의 미와 함께 안타까운 구한말의 역사를 생생하게 품고 있는 장소이다.
운현궁 기본정보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 464
지하철 : 서울 지하철 3호선 안국역 4번 출구
문화재 : 대한민국 사적 제257호
지정일 : 1977년 11월 22일
입장료 : 무료
운영시간 : 09:00 – 18:00
정기휴무 : 매주 월요일
운현궁 공식홈페이지 바로가기
운현궁의 주인 흥선대원군
운현궁을 둘러보기 전에 먼저 이곳의 주인인 흥선대원군과 대권을 두고 일생동안 정치적으로 대립한 명성황후에 대한 간단한 소개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흥선대원군은 정조의 이복동생인 은신군의 손자로 1821년 1월 24일 태어났으며, 이름은 이하응이다. 1830년 여흥 부대부인 민씨와 혼인하여 고종을 비롯한 2남 2녀를 두었으며, 철종이 사망한 후 1863년 고종을 대왕대비 조씨와 익종의 양자로 들여 왕위에 올렸다.
고종이 왕위에 오른 후, 10년 동안 흥선대원군의 섭정이 시작됐다. 집권 중 누구도 하지 못했던 안동 김씨 세도정치 척결과 비변사 폐지, 서원 철폐, 국방력 증강, 경복궁 중건, 삼정의 개혁 등의 업적을 이루었으나 동시에 천주교 탄압과 쇄국 정치로 조선의 근대화를 늦춘 인물이기도 하다.
10년간의 섭정 후 최익현의 탄핵 상소로 고종의 친정이 시작되며 실각한다. 이후 죽는 순간까지 권력에 대한 집착으로 재집권을 시도했으나 이루지 못한다. 사견으로는 시대를 잘못 만난 인물이라고 생각한다. 조금만 일찍 태어나 직접 왕위에 올랐다면 조선의 역사는 전혀 다른 흐름을 만났을 것이다.
조선의 국모 명성황후
명성황후는 고종의 정실이자 순종의 어머니로 1851년 11월 17일 태어났으며, 아명은 민자영이다. 1866년 대왕대비 조씨의 간택령에 따라 삼간택 후 왕비로 결정되었으며, 운현궁 노락당에서 왕비 수업을 받고 3월 21일 고종과 혼례를 지렀다.
흥선대원군 실각 후 정권을 잡고 통상수교거부정책을 취한 흥선대원군과는 달리 강화도 조약을 시작으로 외국에 대한 개방정책을 추진했다. 그러나 임오군란을 계기로 청나라를 끌어들여 조선이 외세에 잠식당하게 되는 원인을 제공했다.
근대화를 위한 굵직한 사건들과 역사적인 흐름 속에서 청나라의 내정 간접과 일본의 침략 야욕이 커지는 가운데 조선에서 청일전쟁이 일어나 일본이 승리하자 친러 정책을 취해 일본을 막아보려 했다. 그러나 조선에서의 주도권을 러시아에 빼앗길 것을 우려한 일본이 1895년 10월 8일, 을미사변을 일으켜 명성황후를 시해한다.
흥선대원군의 저택 운현궁
운현궁은 조선 말 흥선대원군의 저택으로 흥선대원군 집권 시절에는 매우 넓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현재는 대폭 축소되어 노안당, 노락당, 이로당을 중심으로 일부만 남아 있다.
조선시대 왕실 한옥으로 방형에 가까운 단순하고 평범한 대지가 각 건물의 배치에 의해 다채로운 공간들을 형성하며, 유기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매력적인 장면을 연출하고 있다. 내부 공간도 체험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출입이 허용되지 않아 너무 아쉽게 느껴졌다.
운현궁의 사랑채이자 흥선대원군의 집무실 노안당
운현궁의 사랑채인 노안당은 이고주오량가, 굴도리식 가구로 건물을 따라 감싸고 있는 툇마루가 인상적이었다. 사랑채답게 흥선대원군의 집무실로서 집권시절 이곳에서 주요 정책이 결정되었다.
흥선대원군의 공과에 대해서 여러 논란이 있지만, 집권 10년동안 누구도 하지 못한 안동 김씨 세도정치 척결, 비변사 폐지, 서원 철폐, 삼정의 개혁, 경복궁 중건 등과 같은 굵직한 일을 해낸 역사적인 장소이다.
삼각동 도편수 이승업 가옥 경복궁을 중건한 대목장의 집
삼각동 도편수 이승업 가옥 흥선대원군 집권 시절 경복궁 중건 공사에서 도편수로 참여했던 이승업의 가옥 …
명성황후가 왕비 수업을 받은 곳 노락당
운현궁의 안채로 건축된 노락당은 유일하게 초익공식 공포를 갖추고 있으며 칠량가구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삼간택 이후 명성황후가 왕비 수업을 받았던 곳으로 유명하고, 이후에는 역할이 바뀌어 안채에서 별궁이 되었다.
안마당에서 건물 너머로 일제가 대원군의 손자 이준용을 위해 지어준 양관이 보인다. 양관도 운현궁의 일부였으나 현재는 덕성여대 소유로 운현궁과 분리되어 있다.
운현궁의 안채 이로당
흥선대원군의 부인인 여흥 부대부인 민씨 거처로 명성황후의 왕비 수업 이후 노락당이 별궁이 되자 이로당이 운현궁의 안채 역할을 하게 되었다.
굴도리식 가구로 팔작지붕과 우진각 지붕이 혼합된 형태이다. 안쪽에 “ㅁ”자 배치에 의한 중정이 있으며, 안마당에서 대청마루 그리고 중정으로 통하는 연결이 상당히 매력적인 요소이다.
운현궁을 다녀와서
운현궁은 단순히 옛 건물이 아니라 조선 후기 정치와 역사가 현재도 살아 숨 쉬는 곳이다. 운현궁에 방문하여 노안당과 노락당, 이로당 등 각각의 건물이 가지는 역사적 의미와 전통 건축의 미를 느낄 수 있었다.
역사적 현장을 직접 방문하고 체험하는 것은 책이나 인터넷에서 얻는 정보와는 비교할 수 없는 가치를 지닌다. 서울 도심 속에서 시대의 큰 흐름을 함께한 운현궁을 방문하여 구한말 안타까운 역사의 숨결을 느껴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 것이다.